바로가기 메뉴
근로복지공단 근무경력을 바탕으로 대표노무사가 명확한 답을 드리겠습니다.
유정운 노무사 (52)
유정운 노동법률사무소 대표 (31198) 충남 천안시 동남구 청수14로 68 (청당동) 센타타워 1007호
퇴직금 합의서 꼭 작성해야 하나요?
전 직장 사장이 퇴직금 안준다고 하길래 법적 기준 들이밀면서 주셔야한다고 했더니 말 바꾸면서 합의서를 작성해야 저한테 퇴직금을 줄 수 있다고 합의서 서명하라고 하는데요. 그 사장 말로는 제가 퇴직금 받아놓고 나중에 더 달라고 딴소리 할 수도 있으니까 세무사랑 노무사가 꼭 받아놓으라고 했다던데, 아직 합의서 내용은 모릅니다. 이미 퇴직한지 한 달도 넘은 상태에서 퇴직금 지연 합의서 말고 퇴직금을 받기 위해 근로자가 꼭 작성해야 하는 합의서가 있나
월급제에서 시급제로 바꼈을 때 급여계산
월급제엿는데 회사 사정으로 시급제로 바꼈는데요 주휴수당 포함해서 월 급여 계산좀 부탁드려요 주휴수당은 355.000 이엿던거 같아요 시급 10.000 월요일 9:30~16:00 화~금 9:30~18:00 단 점심시간1시간 시급 안나온다고 합니다 근무시간에서 점심시간 1시간 빼서 계산좀 해주세요
산재시 입원과 통원일 때 휴업급여가 다른가요?
산재시 입원 휴업급여하고 통원 휴업 급여가 다른가요? 입원했을때 휴업급여는 100프로라고 하고. 그냥 통원치료는 70프로라고 하고. 아니면 입원이나 통원이나 동실하고 70프로이라요?
육아휴직 후 복직
저희 회사는 사무직(8시30분 출근 / 17시30분퇴근) 생산교대직 3교대로 구성 되어 있습니다. 저는 사무직 근무 중이였고 출산,육아로 육아휴직 2년정도 휴직하였습니다 복직 날짜가 다가와 회사와 연락해보니 저보고 교대 근무로 이동 하라고 하네요. 급여는 똑같지만 아이 둘 키우면서 교대 근무를 하라니..그리고 2년 쉬었다고 교대직으로 이동하라고 하면 그게 끝입니까 너무 부당하다고 생각합니다. 이게 맞는걸까요?
근로계약서 일당과 실수령액이 다를 경우
안녕하세요 제가 3개월 정도 건설일을 했었는데요 하루 인력이 아닌 팀에 들어가서 일을 하게 되었는데 팀에 소속되면서 팀에서 근로 계약서를 쓰지도 않았고 처음으로 가는 현장에서만 근로 계약서를 작성했는데 작성 할때 나와있는 제 일당은 23만원이였습니다 근데 저는 팀장한테 실질적으로 받는 돈은 16만원 밖에 안되었습니다 그 팀장이 떼먹는거라고 하더라구요 근데 이게 잘못된거라는걸 알고 신고를 하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거기서 현재 근무하고 있는 사람이
근로시간 문의드립니다.
생산 근로자 입니다. 근무자가 두명이며 한명은 오전조 한명은 오후조로 운영되는데요 한명이 연차를 사용하면 다른 한명이 오전오후를 모두 일해야한다고 하는데 이게 맞는건지 또한 개인근무시간만 근무하겠다 하면 강제로 일을 시키겠다는데 법적으로 이게 맞나요?
4대보험 회사에서 전액 지원할 경우 퇴직금
그동안 4대보험 회사와 근로자가 반반 부담하는 곳만 다녔었는데 이번에는 4대보험 근로자부담금도 지원해준다고 해서요, 혹시 이런곳에서 나중에 퇴직금을 못받는다든지, 4대보험을 제가 냈을때랑 회사가 전액 지원해줄때랑 차이점이 있나요?
업무중 실수로 기물파손 손해배상 해야하나요?
전에 다니는 회사에서 업무중 물건을 옮기다가 지게차 윗 천장 유리가 파손이 되었습니다. 현재는 다른 회사에서 근무중이지만 이제 와서 4배이상의 돈을 개인적으로 지불을 해야되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출산휴가후 보직변경 어떡해야하나요?
저희회사는 중소기업이며 정부시책에따라 출산휴가 육아휴가등 모든것을 철저히 이행하고 있으며 현재 본 회사 사무실에서 사무직으로 근무(입사후 1년 3개월)후 출산휴가를 3개월하고 연이어 육아휴직을 1년을 하고 출근일이 다가오는데 그사람의 대체 근무자가 업부능력도 뛰어나고 모든면에서 잘하고있기에 출산휴가자가 회사로 복귀하면 마땅한 자리가없어 기존 업무와는 무관한 생산으로 발령을 낼려고 합니다 이렇게 해도 문제가 없는지요? 물론 출산휴가 당사자
포괄임금제 휴일특근 지급 문의
1. 아래와 같은 회사의 규정에 의해 실제 일한 근무에 대해 미지급하여도 문제가 없는지 문의드립니다. * 야근의 경우 24시간 이내 보고서 미제출시 수당지급 제외 * 휴일 근무의 경우 7일 이내 보고서 미제출시 수당지급 제외의 원칙 2. 1에서 만약 문제가 있다면 유효기간이 따로 있는지 문의 드립니다. 현재 근무여건상 문제제기를 당장에 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퇴사시에나 받고자 하는데 유효기간이 따로 있을지 문의드립니다.
060 빠른 전화상담
060-300-1532 고유번호 8125
2,000원/30초
빠른 전화카드
1800-8379 고유번호 8125
916원/30초
잠시만 기다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