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노동법, 인사노무 관련해서 궁금한 사항 있으시다면 편하게 문의 주시기 바랍니다. 성실과 신뢰를 바탕으로 최선을 다해 도와드리겠습니다.
정마루 노무사 (30)
같이&가치 노동법률컨설팅 (05854) 서울 송파구 법원로 128 (문정동) SK V1 C동 601호
http://blog.naver.com/cpla_wv
근로계약서 안 쓴 경우 연차
작년 9월 9일부터 단시간 근로자로 일하고 올해 3월부터 직원으로 변경하면서 근로계약서를 새로 쓰지 않았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제가 1주일정도 대상포진에 걸려 쉬었었는데 병가로 3일은 처리해주지만 나머지 휴무일은 무급휴가로 해야한다고 통지받았습니다. 처음에 연차가 발생한다고 알고있었는데 후에 전달받은 것은 연차수당 및 주휴수당이 임금에 포함돼있어서 연차 사용이 어렵고 무급으로 휴무해야한다고 합니다. 제가 근로계약서를 따로 쓰고 직원으로 입사한게
강제 근무조 편성 및 강제 연차
3조 2교대 잘 다니고 있는데 근무자끼리 친하다는 이유만으로 뜬금없이 강제로 a조에서 b조로 옮기게 되었고 나는 거부했는데도 불구하고 옮기게 되었고 그 와중에 주간에서 야간 넘어가는 구간? 이었나 아무튼 강제 연차까지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회사 측에서 잘못된 게 어떤것들이 있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부당해고와 해고예고수당
저는 2021년 12월에 한 회사에 입사 후 2023년 09월 18일까지 근무 후 18일 저녁 18:50경 술 취한 사장에게 일방적인 욕설을 들은 후 내일부터 회사나오지말라는 말과 함께 일방적인 부당해고를 당했습니다. 사유는 명절 전 바빠진 업무로 21시까지 야간근무를 일주일 간 해야하는 상황이었고 회사 본부장에게 다른 팀장과 둘이서 교대로 야간근무를 확인하라고 지시받고 09월 18일 야간은 다른 팀장이 확인하기로 한 날인데 갑자기 전화와서 니
연장근로 거부가 업무방해인가요?
현재 저는 이틀 일하고 하루 쉬는 교대근무를 하고있습니다. 이틀 일하는 대신 휴게시간 포함 최소 11시간에서 최대14시간을 회사에 묶여있어야합니다. 그런데 제가 일하는 현장은 연중무휴라 동료가 연차를 내거나 퇴사하여 빈자리가 생기면 신입사원이 입사하여 자리를 채워줄때까지 쉬는 조의 사람들이 돌아가면서 하루 쉬는 날에 대리근무를 뛰어야합니다. 심지어는 육아휴직 자리까지 돌아올때까지 빈자리를 남겨두어 대근을 뛰게 했습니다. 원치않는 대근을 강제로
해고 예고 수당 문의드립니다.
1. 직원이 된지 2틀차 인데 30일전에 해고 통지를 받았습니다 해고예고수당을 받을수 있을까요? 2.해고예고수당을 받는다 하면 시급 11000원 12시간씩 일해서 하루에 132000 원이고 3.3% 세금을 땝니다 해고예고수당을 받는다면 얼마를 받을수 있나요?
휴업수당 진정서 제출 가능할까요?
아웃소싱을 통해 간 일당업무 중 50분 일하고 갑작스럽게 귀가조치 당했습니다. 1시간 미만 근무라고 일당을 지급받지 못했습니다. 이런 경우 휴업수당 진정서 제출 가능할까요?
퇴직금 프리랜서 기간 포함되나요?
제가 개인사업체에서 직원으로 일한지 2년차가 되어 그만두려고하는데요 1년은 프리랜서 1년은 4대보험을 들고 다녔는데 퇴직금 2년치 받을수있는건가요?
수습기간 급여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사회초년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이번에 입사를 하게 되었는데 면접 때 수습 3개월-실수령 180, 정규직-실수령 200 이렇게 들었습니다. 입사 후 일 열심히 하는 것 같아 이번달부터 190만원으로 지급될 예정이다. 라고 하셨는데 ‘근로 계약서 작성에는 209*9620원 2,010,580+고정연장근무시간 11시간*1.5 158730 지급합계 2,169,310원 지급합계에서 제세공과금 및 고시보험료를 공제한 후 지급한다.’ 라고 적혀있
월급계산 문의드립니다.
제가 2교대식으로 돌아가는데 오전7시~오후7시- 오후7시~오전7시 총 12시간이고 오전2번 오후2번 총 2시간씩 쉬고 4대보험 들어가고 연장근무및 야간수당 주휴수당까지 다 들어가고 제가 이번 9월말까지하면 총 근무한 횟수가 14번인데 담달에 얼마쯤 받을까요 시급은 9620원 최저 시급입니다. 근무하는 시간은 총 10시간인데 얼마을 받을까요
편의점에서 못받은 주휴, 야간, 휴일수당을 받고 싶습니다.
근로계약서 미작성인데 4대보험은 가입했다고 들었고(정확하지 않음), 그동안 월급은 순수 최저시급*근로시간으로 세금 안떼고 받았습니다. 일용직, 프리랜서 중 어떤식으로 등록했는지도 모릅니다. 이 경우 세금을 떼고 계산해서 못받은 돈을 받아야 할까요?
예약 전화카드
노무사 전화방문
20,000원/20분